지은이 : 이태영
출판사 : 여래
가격 : 8,000원
쪽수 :239쪽
발행 : 2003년3월
요가는 인도를 대표하는 수행법이나 인도의 종교와 철학적 사유에 수많은 영감을 제공했던 학문이기도 하다. 따라서 요가의 수행체계와 이론을 모르고서는 인도의 종교나 철학을 온전히 이해 할 수 없다. 또한 종교학자 에반스 벤츠의 지적대로 요가는 힌두교나 불교, 자이나교와 같은 인도의 종교뿐만 아니라 도교, 배화교, 유대교, 기독교, 이슬람교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.
그러나 국내에서 요가 사상에 대한 관심은 그리 많지 않다. 특히 고전 요가 사상은 일반인에게 제대로 소개조차 되 지않았다. 이것이 부족하나마 이책을 내는 이유이다. 이 책의 주요 내용은 인도 정통 철학의 한 학파로 확립된 고전요가 철학이다.
고전 요가의 체계는 파탄잘리가 편찬한 <요가수트라 Yaga-Sutra>에 근거하고 있는데, 널리 알려져 있듯이 복합어와 단어 2~3개로 이루어진 짧은 경구를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,
따라서 이 책은 <요가경> 에 대한 최초이자 권위있는 주석서로 평가되는 비야사의 <요가 바샤 Yaga-bhasya> 도 함께 다루었다. 이 책은 고전 요가 사상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지만 객관적인 고찰이 필요하거나 또는 편견을 없앨 목적으로, 불교 철학과 상캬 철학을 참조하기도 했다.
그 까닭은 인도나 서양 학자들이 요가를 상캬 이론에 근거한 실천으로 이해했던 반면 불교에 친숙한 일본 학자들은 불교 심리학으로 이해하려고 했기 때문이다. 이 책에서는 이 둘 중 어느쪽에도 치우지지 않으려고 노력했다.
10년 전에 <고전 요가의 이론과 실천> 이라는 제목으로 학위논문을 낸 적이 있다. 그때부터 `조금 더 연구하고` 요가 철학서를 쓰겠다고 생각해왔다. 그러나 꼭 10년이 지난 지금 `조금도 더 연구하지 못하고` 이책을 낸다. 이것이 부끄럽다.
끝으로 교정을 해주신 문을식 박사와 안성두 박사, 한국요가연수원 식구인 노희순 기자와 김지영, 박공순 선생 그리고 이책을 출판해주신 도서출판 여래 정 사장께 감사의 뜻을 표한다.
2003년 3월 철학박사 이태영
1.요가의 기원
2.우파니사드의 요가 사상
3.마하바라타
4.요가 수트라 이후의 요가 사상
1.저자와 연대
2.다른 사상의 영향
1.인식 대상과 신
2.세계
3.자아
4.세계와 참나의 관계
1.마음과 마음작용
2.번뇌와 잠재의식
1.수행의 필요성
2.수행 단계
3.삼매와 지혜
4.해탈
1.삼매품
2.수행품
3.초능력품
4.독존품
요가경 어휘 색인
색인